본문 바로가기
잡다구리

비즈니스 영어이메일 서두/말미에 자주 쓰는 핵심패턴

by 소소백과 2022. 5. 8.

1. 자신의 이름 및 소속 밝히기

* This is ~

전화나 이메일을 통해 자신의 이름이나 소속을 밝힐 때는 I am이 아니라 This is라고 표현해야 함에 주의합시다.

 

2. 답신(회신)할 때

* Thank you for ~ : ~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상대방이 먼저 연락을 취했고 이에 대한 회신을 해야 하는 상황을 가정해봅시다. 이런 경우 이메일의 시작은 '연락을 주셔서 감사하다'는 인사로 시작해봅시다.

Thank you for reaching out to me.
Thank you for getting in touch with me.

이 두 표현 모두 주로 누구에게 처음으로 답장을 보낼 때 사용하는 표현입니다.

 

또는 당신이 문의를 하거나 이메일을 보냈는데 회신이 빠르게 왔을 때, 그 회신에 대한 답신을 다시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다음과 같은 표현으로 이메일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Thank you for your quick response.
Thank you for your prompt reply.
Thank you for your swift response.

또는 quick 이외에도 prompt, swift(신속한, 빠른)의 표현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또는 좀 더 캐쥬얼하게 표현하고 싶다면, Thank you for getting back to me so quickly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 더 자세히 알아보기: get back to ~
1) get back to someone
'누군가에게 다시 연락을 주다'라는 뜻이므로, 이 표현은 꼭 이메일 뿐만 아니라 전화나 문자로 회신할 때도 쓸 수 있다(return a call or text, email).

I'll get back to you after I check my schedule.
제 스케줄 확인해보고 다시 연락드릴게요.

Sorry I didn't get back to you sooner.
더 일찍 연락 주지 못해서 미안해.

그건 나중에 알려드릴게요.
I'll get back to you on that.

제가 최대한 빨리 답변해드릴게요.
I will get back to you as soon as possible.

2) get back to (place or previous state)
get back to 뒤에 장소나 이전의 상태동사를 두면, 어떤 장소나 이전 상태로 돌아간다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The break time is over. I have to get back to the classroom.
쉬는 시간이 끝났어. 난 다시 교실로 돌아가야 해.

I woke up in the middle of the night, but I couldn't get back to sleep.
한밤중에 일어났는데 다시 잠을 잘 수가 없었어.

 

3. 먼저 연락을 취하는 상황일 때

* I hope : ~이기를 바랍니다.

이메일을 좀 뜸하게 보내는 관계일 때는 오랜만에 연락을 취하는 상황이므로 '잘 지내고 계셨기를 바랍니다.'라는 인삿말로 시작해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I hope you're doing well.

반면, 자주 이메일을 보내는 관계라면, '좋은 하루 보내고 계시기를 바랍니다/한주 잘 보내고 계시기를 바랍니다.'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면 됩니다. 또는 오전에 일찍 보내는 이메일, 혹은 한주 시작인 월요일에 보내는 이메일이라면, '하루가 좋게/순탄하게 시작되셨기를 바랍니다. 한주를 좋게 시작하셨기를 바랍니다.'와 같은 인삿말도 있습니다. (get off to a good/great start: 좋게 출발하다.)

I hope you're having a great day.
I hope you're having a great week.

I hope your day is going great.
I hope your week is going well.

I hope your day got off to a good start.
I hope your week got off to a great start.

상대방에게 자료를 보내주면서, 도움이 되었기를 바란다고 할 때도 'I hope'를 쓸 수 있습니다.

I hope this helps. / I hope you find this helpful. (좀 더 formal한 표현임.)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I hope this answers your question.
당신의 질문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I hope this answers all your question.
당신의 질문들에 답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상대방이 여러 질문들을 보냈을 때 쓸 수 있는 표현)

 

4. 용건을 정중하게 말하기

4-1. I just wanted to see if ~ : ~인지 확인 차 연락드렸어요(의역).

이메일에서 'I just wanted to' 라는 표현을 가장 유용하게 쓰게 되는 경우는 '상대방에게 요청한 일을 했는지 확인차 이메일을 보낼 때'입니다. 용건을 정중하게 말하는 표현이므로 꼭 이메일이 아니어도 일상회화에서도 자주 쓰이는 패턴표현입니다. 이메일에서 유용하게 쓰기 위해서 'I just wanted to see if'까지 덩어리로 암기합시다. 

I just wanted to see if you're available tomoroow.
내일 시간이 되시는지 확인 차 연락드렸어요.

I just wanted to see if
the report is ready.

의역: 보고서가 준비되었는지 확인 차 연락드렸어요.
(Is the report ready?보다 훨씬 정중한 표현임.)

I just wanted to see if you had a chance to look at my proposal.
의역: 제 제안서를 볼 기회가 있으셨는지 확인 차 연락드렸어요.

*have/get a chance to ~ : ~을 할 기회를 갖다.

 

또는 앞서 배운 'thank you for'을 함께 응용하여 say thank you for을 덧붙이면,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다'가 되므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려 연락드렸다고 하고 싶다면 I just wanted to say thank you for 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I just wanted to say thank you for meeting with me last week.
지난 주에 저를 만나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었어요.

 

4-2. Just a quick email/note to ~ : ~을 하기 위해 간단하게 이메일을 씁니다(의역).

note는 short letter 또는 short message를 뜻하므로, 원어민은 간단한 이메일을 note라고도 자주 표현합니다.

Just a quick email to update you on the progress.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간단하게 알려드리려고 이메일을 씁니다(의역).

Just a quick note to let you know that I won't be joining the meeting today.
오늘 미팅에 참석하지 못할 것이라는 걸 알려드리려고 간단히 이메일을 씁니다.

4-3. I was wondering if ~ : ~인지 궁금했어요, ~일까 해서요.

이 표현은 질문이나 요점을 상대방에게 polite하게 물을 때 자주 쓰는 표현입니다. 현재진행형(I am wondering)으로 표현하면 좀 더 직접적이지만, 현재에서 멀어진 과거진행형(I was wondering)으로 표현하면 표현이 더 간접적,우회적이게 되므로 더 정중한 표현이 됩니다. 

I was wondering if we could meet early next week.
다음 주 초에 만나뵐 수 있을까 해서요.

5. 이메일을 마무리할 때

5-1. Please let me know if ~ : ~하시면 제게 알려주세요.

이메일을 마무리할 때는 주로 '질문이 있으면 알려달라/연락달라'는 내용으로 끝맺음을 합니다. 이메일 말미에 쓸 수 있는 표현이니 통으로 암기해두면 좋습니다. 그 이외에도 제안을 한 후 제안이 괜찮았는지 회신을 달라고 이야기할 때도 쓸 수 있습니다.

Please let me know if you have any questions.
질문이 있으시면 제게 알려주세요.

Please let me know if that sounds good to you/that works for you.
그 제안이 괜찮으신지 제게 알려주세요.

Please let me know if that's possible.
그 제안이 가능하다면 제게 알려주세요. 

 

5-2. At your earliest convenience : 편하실 때 가능한 한 빨리

우리는 보통 '가능하면 빨리'라는 표현을 영어로 떠올릴 때 as soon as possible만 떠올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as soon as possible은 잘못하면 무례한 표현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예를 갖춰야 하는 관계에서 '가능하면 빨리 해달라'고 요청해야 할 때는 'at your earliest convenience'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됩니다. 이 표현은 formal한 표현이기 때문에 고객이나 상사처럼 예를 갖춰야 하는 관계에서만 사용합니다. 

Could you send it to me at your earliest convenience?
편하실 때 가능한 한 빨리 그것을 제게 보내주실 수 있으실까요?

Please let me know at your earliest convenience.
편하실 때 가능한 한 빨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5-3. I would be grateful if you could ~ : ~해주시면 대단히 감사하겠습니다.

상대방에게 요청을 정중하게 할 때 자주 쓰는 formal한 표현입니다. 

 

I would be grateful if you could send it tome by tomorrow.
내일까지 그것을 제게 보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비즈니스 이메일을 영어로 작성할 때 서두와 말미에 자주 쓰는 패턴들을 익혀봤습니다. 영어로 이메일을 작성해야 할 일이 많으신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댓글